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을 오늘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평화해운 배편 노선,
시간표, 요금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정보
완도(화흥포)
⇔ 노화(동천)․소안 방면 배편 시간표
정보
완도 ⇔ 청산도 방면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정보
약산 ↔ 금일, 약산 ↔ 생일도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정보
녹동↔금당↔금일,녹동↔약산↔신지,녹동↔거문도↔초도 방면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땅끝항 ⇔ (흑일) ⇔ 넙도, 서넙도
방면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산양 ⇔ 횡간, 산양~흑일~땅끝 방면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정보
완도 ⇔ 모황도·덕우도·생일(용출)·황제도방면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정보
청산도 ⇔ 여서도 ⇔ 장도 ⇔ 모동 ⇔ 모서 ⇔ 소모 방면 배편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고마도 ⇔ 사후도 방면 배편 시간표, 고객센터 전화번호 정보
대야리선착장 배편 노선,
시간표, 주소, 전화번호 정보
노화도
동천 매표소 배편 노선,
시간표, 전화번호 정보
청산도
청산농협-완도운송사업소 매표소 배편 노선,
시간표, 전화번호 정보
완도농협 약산도농협 매표소 배편 노선,
시간표, 전화번호 정보
오늘 포스팅에서는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을
자세히 정리하고 있습니다. 오늘 정리하고 있는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포스팅 작성일 기준에서 확인 가능한 가장 최신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매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최신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포스팅 본문에 남긴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및 선박사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도서명 |
우도(제주) |
시_도 |
제주특별자치도 |
시_군_구 |
제주시 |
구분 |
유인도 |
개발대상도서여부 |
개발대상도서 |
위치_행정구 |
제주시 |
위치_읍면동 |
우도면 |
위치-리_통 |
5 개 |
위치_주요마을 |
서광리 |
면적(제곱미터) |
6,180,000 |
인구현황_가구 |
999 |
인구현황_인구 |
1,892 |
인구현황_남 |
1,005 |
인구현황_여 |
887 |
제주 우도(우도면) 여행
초심자·재방문 모두 만족 가이드: 가는 법·섬 정보·배편(시간표/요금)·차량 선적·현장
팁
제주 본섬 동쪽, 성산일출봉 앞바다에 ‘섬 속의 섬’이 있습니다. 바로
우도(牛島).
흰 산호 파편이 만든 서빈백사, 검은 현무암이 펼쳐진 검멀레, 부드러운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일주도로, 그리고 연안의 잔잔한 파도까지—짧은 반나절에도 ‘제주 바다의 색감’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곳입니다. 이 글은 한국 여행자 관점에서 우도(제주)의 핵심 데이터, 접근
경로(육상·해상·대중교통), 배편 시간표·요금표, 차량
선적 요금과 입도 제한 규정, 코스·계절 팁, 체크리스트, FAQ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한눈에 보는 우도(제주) 기본 데이터
항목 |
내용 |
도서명 |
우도(제주) |
시·도 |
제주특별자치도 |
시·군·구 |
제주시 |
구분 |
유인도 |
개발대상도서 여부 |
개발대상도서 |
위치_행정구 |
제주시 |
위치_읍면동 |
우도면 |
위치-리/통 |
5개 |
위치_주요마을 |
서광리 |
면적(㎡) |
6,180,000 (= 6.18㎢) |
인구현황_가구 |
999 |
인구현황_인구 |
1,892명 |
인구현황_남 |
1,005명 |
인구현황_여 |
887명 |
위 인구·면적은 제공 자료 기준입니다. 실제 주민 수는 전출입·계절 요인으로 소폭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우도는 어떤 섬인가
— 지형·분위기·핵심 포인트
·
지형/색감: 서쪽의 서빈백사(산호사 해변), 동쪽의 검멀레해변(현무암·흑사), 북동의 우도등대공원 등 해안 경관이 극적으로
바뀝니다.
·
일주 동선: 섬을 둘러싼 도로는
완만하고 평탄해 도보·자전거·전동스쿠터(대여업체 이용)로 즐기기 좋습니다.
·
관광/생활의 공존: 우도는 우도면이라는 독립 행정단위를 가진 유인도로,
주민 생활권과 관광 동선이 맞닿아 있습니다. 항·포구·양식장 등 생활 공간 예절은 기본입니다.
3) 우도 가는 법 —
“성산항·종달항에서 배 타고 10~20분, 버스도 편리”
3-1. 출발 항구 선택
·
성산포항 종합여객터미널(서귀포시
성산읍): 운항 편수가 가장 많고, 성수기에는 30분 간격 수준으로 증편되는 날이 잦습니다.
·
종달항(제주시 구좌읍): 하루 소수 회차 중심. 한적하게 이용하고 싶을 때
대안입니다.
두 항구 모두 우도 측 두 항구(천진항, 하우목동항) 중 한 곳으로 들어가며, 입·출도 항구를 다르게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3-2. 자가용/주차
·
성산항 주변 유료 공영주차장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일일 상한이 있는 정액제). 성수기에는 발권 대기 + 주차를 감안해 최소 40~60분 전 도착을
권합니다.
3-3. 대중교통(공항 → 항구)
·
제주국제공항 ↔ 성산항: 급행버스 110-1/110-2 이용이 편리합니다. 공항·시내
주요 거점에서 성산일출봉과 성산포항 종합여객터미널까지 이어집니다.
·
제주시내 ↔ 종달항: 동부권 시내·일주노선 환승 후 하차. 종달은 주차가 상대적으로 수월해 렌터카·택시+도보 조합도 좋습니다.
4) 우도 배편 시간표(예시
틀) — 계절·기상에 따라 증감
우도 도항선은 계절/요일/기상(풍랑주의보·안개 등)에
따라 첫·막배와 간격이 달라집니다. 아래는 현장·공식 안내에서 공통적으로 반복되는 ‘운영 틀’을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탑승 전 당일 운항 공지/현장 표지판을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4-1. 성산항 → 우도(천진·하우목동) 출항 예시
·
성수기(대체로 5~8월): 07:00
~ 18:30, 30분 간격 수준
·
비수기(대체로 9~4월): 08:00
~ 17:30(또는 18:00), 30분
간격 수준
·
편수: 성수기 기준 하루 20~24회차 내외 편성되는 날 多
4-2. 우도(천진/하우목동) → 성산항 복귀 예시
·
천진항: 매시 30분 출항(예: 08:30,
09:30 … 16:30/17:30/18:30)
·
하우목동항: 매시 정각
출항(예: 08:00, 09:00 …
16:00/17:00/18:00)
·
소요시간: 편도 약 10~20분
4-3. 종달항 ↔ 우도
출·도착(예시)
·
1~3월·10~12월: 3~4회/일
·
4~9월: 5~7회/일
·
회차별 정각/30분 출항 패턴이
많고, 기상에 민감하여 변동·감편이 잦습니다.
5) 요금표(대표
범위) — 여객 요금·차량 선적 요금
요금은 선사·항구·시기에
따라 소폭 차이가 있으며, 터미널 이용료·도립공원 입장료·해양사고피해구제 분담금이 포함되거나 별도 합산되는 구조입니다. 아래
표는 현장 안내에서 반복 확인되는 대표 구간·금액대를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발권 전 현장 요금표를 최종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5-1. 여객 요금(왕복
기준) — 성산항/종달항 공통 범위
구분 |
왕복 요금(대표) |
비고 |
성인 |
10,000~10,500원 |
항구·시기별 500원
내외 차이 |
중·고생 |
9,800~10,100원 |
학생증 지참 권장 |
경로·장애인·유공자 |
9,000원 내외 |
증빙 필수 |
초등학생 |
3,500~3,800원 |
|
3~7세 |
3,000원 내외 |
|
3세 미만 |
무료 |
좌석 없이 보호자 동반 |
제주도민 |
9,500원 내외 |
신분증/주소지 증빙 |
5-2. 차량 선적 요금(편도
기준·대표) — 성산항 기준 사례
차량 구분 |
입도 |
출도 |
왕복 합계(참고) |
경차 |
12,800원 |
8,800원 |
21,600원 |
중소형/9인승 이하 승합 |
15,000원 |
11,000원 |
26,000원 |
대형(그랜저급)·12인승
이하 |
17,200원 |
13,200원 |
30,400원 |
15인승 이하 승합 |
20,500원 |
16,500원 |
37,000원 |
카운티(25인승 이하) |
33,500원 |
27,500원 |
61,000원 |
이륜차·자전거 등 |
별도 문의 |
별도 문의 |
크기·형식별 상이 |
중요: 섬 내 차량 운행 제한이 있어
모든 차량이 반입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아래 ‘7장’의 차량 운행 제한 규정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6) 섬에서 무엇을 할까
— 코스 설계와 관람 포인트
6-1. 반나절 핵심 코스(3~4시간)
1. 성산항
출항 → 우도 하우목동항 하선
2. 서빈백사(서빈백사해변): 산호사
특유의 에메랄드 라인 감상
3. 검멀레해변: 현무암과 동굴 포토 스팟(안전 구역 준수)
4. 우도
등대공원·비양정상 전망대: 성산일출봉·본섬 원경
5. 천진항
인근 카페·분식 휴식 → 천진항 승선 복귀
6-2. 하루 알찬 코스(6~8시간)
·
오전: 연대·봉수대 라인 짧은 오름 + 서빈백사 산책
·
점심: 땅콩 아이스크림·한치/톳 메뉴 등 우도만의 간단 식사
·
오후: 일주도로 라이딩(자전거/전동 스쿠터 대여) + 검멀레–하고수동–천진 순환
·
일몰: 천진항 방파제 or 서쪽 해변에서 노을 촬영 → 막배 전 복귀
6-3. 장면별 촬영 팁
·
광각: 서빈백사 수평선, 등대공원 파노라마
·
망원: 성산일출봉 방향의 배 실루엣, 파도 결
·
삼각대: 바람 대비 저중심으로, 방파제는 강풍·파도 튀김 주의
7) 차량 관련 핵심 규정 — 2025년 8월부터 일부 완화
우도는 2017년부터 관광객 차량 반입·운행 제한을 시행해 왔습니다. 혼잡 완화와 보행 안전, 환경 보호가 목적입니다.
·
일반 렌트카·자차: 그간 원칙적으로 반입 제한(예외 사유에 한해 제한적
허용)
·
2025년 8월 1일 ~ 2026년 7월 31일(1년): 한시 완화 결정
o
16인승 전세버스 및 친환경
렌터카(전기·수소) 입도·운행 허용
o
개인형 이동장치(PM)·이륜차 등에 대한 반입
허용 범위도 일부 완화
·
주의: 세부 절차(스티커 부착, 증빙서류, 운행
구역, 통제 시간대)는 현장·관할 고지를 따릅니다. 무단 운행 시 과태료·범칙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현실적인 선택: 섬 규모와 동선
특성상 도보/자전거/전동스쿠터만으로도 충분히
일주가 가능합니다. 차량 반입은 필요성·허용 요건을
충족할 때에만 고려하세요.
8) 우도 ‘현장력’—계절·물때·안전
·
계절/기상: 봄·가을은 시정이 좋고 바람이 온화합니다. 여름은 자외선(해면 반사)·열섬이
강하므로 모자·선크림·수분 보충 필수. 겨울은 해풍 체감이 낮아 방풍·보온 준비.
·
물때: 간조·만조에 따라 검멀레 파도선과 해변 노출 폭이 달라집니다. 사진가라면
물때표를 체크하세요.
·
항·포구 안전: 방파제는 강풍·미끄럼·파도
튀김 주의, 난간 밖 이동 금지.
·
생활 예절: 양식장·어구·사유지·창호 근접
촬영 자제, 쓰레기 전량 반출.
·
드론: 항만·인가 인접 비행 제한/고도 제한을 사전에 확인하세요.
9) 준비물·현장
체크리스트
·
신분증(전 승선자 필수)
·
보조배터리·모바일 결제 + 현금 소액
·
모자·선글라스·자외선 차단제
·
운동화 + 해변용 샌들(젖었을 때 갈아 신을 여벌)
·
비상약(멀미약·벌레물림 연고 등)
·
배편 첫·막배/운항 공지 당일 재확인
·
차량 반입 허용 요건·스티커 등
현장 고지 숙지
10) 항구·문의·요약 정보
·
성산포항 종합여객터미널 문의: 064-782-5671
·
우도 대합실 문의: 064-783-0448
·
종달 대합실 문의: 064-782-7719
·
우도 도항선 공식 안내(운항/공지 확인용): ‘우도가는배’ 운영 사이트에서 당일 공지 확인
·
공항 ↔ 성산항 대중교통: 급행 110-1/110-2
11) Q&A — 자주 묻는 질문
Q. 우도행 배는 예약이 가능한가요?
A. 현장 발권이 기본이지만, 운항 정보·공지는 공식 안내 페이지에서 매일 업데이트됩니다. 성수기에는
첫·막배·간격이 수시로 조정되니 당일 공지를
확인하고, 출항 40~60분 전 도착을 권합니다.
Q. 차량을 싣고 들어갈 수 있나요?
A. 차량 선적 요금 체계는 존재하지만, 차량 운행 제한 규정이
우선입니다. 2025년 8월부터 1년간 16인승 전세버스·친환경
렌터카 등 일부에 한해 허용이 완화되었습니다. 허용 요건·증빙·스티커 등 현장 절차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Q. 어느 항구로 들어가고, 어느 항구로 나와도 되나요?
A. 네. 천진항/하우목동항 중
입도 항구와 출도 항구를 달리 선택해도 됩니다. 시간표 패턴(정각·30분 출항)을 활용해
동선을 짜면 효율적입니다.
Q. 우도에서 꼭 가봐야 할 곳은?
A. 서빈백사–검멀레–우도등대공원–하고수동해변을 하나의 루프로 묶으세요. 바다색·지질·지형이 모두 달라 짧은 시간에
‘제주 바다의 스펙트럼’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Q. 멀미가 심한데 배가 많이 흔들리나요?
A. 구간이 짧아 10~20분 내외이며, 기상이
나쁘지 않으면 큰 흔들림은 드뭅니다. 다만 풍랑·안개
때는 결항·감편이 수시로 발생합니다. 당일 공지를
확인하고 멀미약을 준비하세요.
12) 마무리 — ‘짧고
깊게’ 즐기는 섬
우도는 코스가 명료합니다. 성산/종달 → 우도(천진·하우목동)로 들어가 해변·능선·전망대를 도보/라이딩으로 묶으면 반나절에도 제주
바다의 색감 변화를 충분히 담아 갈 수 있습니다. 변수가 있다면 단 하나, 배편 운영(첫·막배·간격)과 기상. 출항
당일의 실제 공지만 꼼꼼히 확인하면, 우도는 언제든지 ‘실패
없는 하루’를 선물합니다.
부록 A) 제공 자료 기반 우도(제주) 원표
구분 |
값 |
도서명 |
우도(제주) |
시·도 |
제주특별자치도 |
시·군·구 |
제주시 |
구분 |
유인도 |
개발대상도서 여부 |
개발대상도서 |
위치_행정구 |
제주시 |
위치_읍면동 |
우도면 |
위치-리/통 |
5개 |
위치_주요마을 |
서광리 |
면적(㎡) |
6,180,000 |
인구현황_가구 |
999 |
인구현황_인구 |
1,892 |
인구현황_남 |
1,005 |
인구현황_여 |
887 |
부록 B) 배편 시간표·요금
요약 표(여행자 관점·대표 범위)
1. 성산항 ↔ 우도(계절 틀·예시)
구분 |
성수기(5~8월) |
비수기(9~4월) |
간격 |
소요 |
성산 → 우도 |
07:00~18:30 |
08:00~17:30(또는
~18:00) |
30분 내외 |
10~20분 |
우도 → 성산 |
천진: 매시 30분 / 하우목동: 매시 정각 |
동일 패턴(감편 잦음) |
30분 내외 |
10~20분 |
2. 종달항 ↔ 우도(예시)
기간 |
편수(일) |
출·도착 패턴 |
비고 |
1~3월·10~12월 |
3~4 |
정각/30분 출항 조합 |
기상 민감·변동 多 |
4~9월 |
5~7 |
″ |
현장/당일 공지 필수 |
3. 여객 요금(왕복
기준·대표 범위)
구분 |
요금(원) |
성인 |
10,000~10,500 |
중·고생 |
9,800~10,100 |
경로·장애인·유공자 |
9,000 내외 |
초등학생 |
3,500~3,800 |
3~7세 |
3,000 내외 |
3세 미만 |
무료 |
제주도민 |
9,500 내외 |
4. 차량 선적 요금(편도·대표, 성산 기준 사례)
차량 |
입도 |
출도 |
왕복 |
경차 |
12,800 |
8,800 |
21,600 |
중소형/9인승 이하 |
15,000 |
11,000 |
26,000 |
대형/12인승 이하 |
17,200 |
13,200 |
30,400 |
15인승 이하 |
20,500 |
16,500 |
37,000 |
카운티(25인승) |
33,500 |
27,500 |
61,000 |
표 내 시간·요금은 대표 예시/범위입니다. 실제 적용은 당일 현장 고지에 따릅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가장 최신 정보를 포스팅 작성 시점 기준에서 정리하고 정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매년 조금씩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가장 최신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포스팅 본문에 남긴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및 여객선터미널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우도(제주) 여행, 가는 법, 인구,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